분류 전체보기

MQTT란? MQTT는 Message Queue Telemetry Transport의 약자로 낮은 전력, 낮은 대역폭 환경에서도 사용할 수 있게 설계된 포로토콜이다. 주로 IoT, M2M 등에 주로 사용된다. Mosquitto란? Mosquitto는 MQTT중 오픈소스 메세지브로커로 저전력 파워센서, 모바일 디바이스 등에 가벼운 메시징 처리를 하기 적합한 프로그램니다. 왜 설치를 해야하는가? 전등을 원격으로 컨트롤 하기 위해서 여러 방법이 있지만, 그중 간편하고 좋은 방법에 속하는 MQTT방식을 통해 사물인터넷을 구현 하고자 한다. 이러한 MQTT 서비스 중에서 비교적 간편하고 무료인 Mosquitto 으로 낙점 1. 설치 우선 중간에서 발신자,수신자를 연결해 줄 브로커를 설치해보자. cmd 창에 아래의..
· 홈 IoT
목표 : 회원 누구나 등록 가능하고, 누구나 다 알림 받는 공지사항 기능 기본 작동 방법 1. 안드로이드(스마트폰 등) 환경에서 서비스 실행 2. 공지사항 등록 시, 회원 모두 알림 전송 및 공지 등록 3. 내용 수정은 불가하며, 본인이 작성한 공지만 삭제 가능 4. 공지는 제목, 내용, 작성자, 시간이 포함 반드시 들어가야할 기능(환경) 1. 공지 등록시, 회원 모두가 즉시 알림을 받아야 함 2. 공지 내용 변경 불가 및 삭제도 작성자에게만 권한이 있어야 함 예상 시나리오 1. 공지사항 등록(ex : 밥먹으러 나온나) 2. 모든 회원에게 새 공지 등록 알림 전송 3. 등록된 공지 시간 및 내용 파악 4. 이미 등록된 공지 내용 수정을 막음으로 혼란 방지 5. 삭제 기능은 작성자만 가능하도록 설정 필요한..
· 홈 IoT
목표 : 회원(가족원)끼리만 사용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기본 작동 방법 1. 안드로이드(스마트폰 등) 환경에서 서비스 실행 2. 파일 다운로드, 업로드 등 파일 이동 및 파일 관리(이름 수정, 삭제, 이동), 저장 장치 관리 3. 파일 이름 수정, 삭제, 이동 등 파일 관리 4. 폴더 생성,수정,삭제 및 개인&공용 폴더 구별 등 저장소 관리 반드시 들어가야할 기능(환경) 1. 집 안에서 뿐만 아니라 외부에서도 가능해야 함 2. 집에 자리만 차지하던 하드디스크를 외부 usb로 인식하게 하여 용량 걱정 없이 사용 예상 시나리오 1. 클라우드 엑티비티 접속 시, 개인 폴더 우선 표시 2. 개인, 공유 폴더 선택에 따라 해당 폴더 내용 표시 3. 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는 파일 업로드 및 다운로드 중에는 프로그래..
내 서버를 내부뿐만 아닌 외부에서도 접근하게 해 보자 준비물 1. 서버 IP 고정시키기 ※ 참조 : sonjuhy.tistory.com/27 우분투 서버(Ubuntu server) 고정 IP & SSH 설정 고정 IP(아이피) 설정하기 ※ 공유기가 아닌 공인 IP를 사용중이시면 건너가셔도 됩니다. ubuntu server 설치가 끝난 서버에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작동시킵니다. sudo nano /etc/netplan/50-cloud-init.yaml 그러 sonjuhy.tistory.com 2. iptime 공유기 알고 있으면 좋은 정보들 1. 포트 포워딩&사설, 공인 아이피 2. 도메인 위 내용은 추후 시간이 날 때 따로 포스팅하도록 하겠습니다. 위 내용 2개를 몰라도 일단 따라만 하면 작동은 하니 일..
· 홈 IoT
목표 : 원격으로 전등을 on/off를 하고 그 상태 값을 확인 기본 작동 방법 1. 안드로이드(스마트폰 등) 환경에서 원격 제어 2. 제어 신호를 받은 스위치(컨트롤러)는 작동 후 그 결괏값을 서버로 전송 3. 결과값을 받은 서버는 그 결과에 따른 코드 실행(에러 값 송출, 정상 작동 결과 송출, DB 업데이트 등) 4. 서버로부터 결괏값을 받은 안드로이드는 이후 사용자에게 그 값을 표시 반드시 들어가야할 기능(환경) 1. 집 안에서 뿐만 아니라 외부에서도 가능해야 함 2. 스마트 스위치는 완성품으로 많이 판매 중. 다만 통합된 컨트롤 환경을 위해 내부 펌웨어도 싹 다 변경 예상 시나리오 1. 스위치를 작동하려 해당 액티비티에 접근 시, 스위치 상태(on/off) 표시. 2. 원하는 스위치 작동 버튼 ..
· 홈 IoT
원하는 기능은 아래와 같았다. 1. 전등 on/off 2. 가스밸브 on/off 3. 가족끼리만 사용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4. 가족끼리 공지사항 공유 출처: https://sonjuhy.tistory.com/28 [Red Hat의 심심한 블로그] 하나부터 열까지 직접 스마트홈 만들기 현재 살고있는 20년도 더 된 아파트에 스마트홈의 ㅅ 이라도 존재할리가 없다. 하지만 나도 스마트홈을 누려보고 싶기에 열심히 구글링하여 직접 만들어 보도록 하자. 스마트홈이라 하면 여러 sonjuhy.tistory.com 그러기 위해 각 기능별 담당파트를 나눠봐자. 여기서 파트란 안드로이드, 서버, 하드웨어(컨트롤러)에서 맡을 역할을 의미한다. 1. 전등 안드로이드 : 현재 전등상태 표시(on/off 상태), 작동 신호 송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