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IP란?
IP주소란 네트워크에 연결되있는 기기에 숫자로 이루어진 주소를 할당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흔히 보는 IP 확인법)
그럼 이 IP란 것이 왜 필요할까? 웹서핑을 예시로 들어보겠습니다.
다음은 웹서핑 단계입니다.
1)웹서핑을 할 기기로 원하는 홈페이지를 접속합니다.
2)홈페이지 서버가 요청을 받아드리고 데이터를 기기로 전송합니다.
3)데이터를 받은 기기가 홈페이지를 화면에 출력합니다.
이런 과정인데 이때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택배처럼 주소가 필요한것입니다.
즉 집에서 사용하는 컴퓨터 한대 마다, wifi 연결한 노트북, 스마트폰까지 네트워크 연결을 하여 통신을 하는
모든 기기는 자신의 고유 주소가 있어야 하는것입니다.
그럼 주소가 모자라지 않을까요? 이것을 알려면 공인 IP, 사설IP를 알아야 합니다.
2.공인&사설IP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아래와 같습니다.
공인 IP : 인터넷에서 사용되는 IP(주소)
사설 IP : 인터넷에서 사용되지 않는 내부 IP(주소)
자 이게 무슨 말인지 알아봅시다.
어느 특정 홈페이지를 접속하려 할때 접속하고자 하는 기기는 홈페이지가 가지고 있는 서버 IP를 확인합니다.
그리고 그 IP로 찾아 서버를 찾습니다. 이때 서버는 네트워크에 접속해있으며 사용 가능한 공인 IP를 가지고 있는겁니다.
즉 공인 IP는 그 집(서버)의 주소이기 때문에 다른 집(서버)와 곂쳐서는 안됩니다.
이번엔 사설 IP에 대해 알아봅시다.
일반 가정집에서는 대부분 모뎀과 공유기를 사용할겁니다. 그러면 설치구조가
외부 네트워크 - 모뎀 - 공유기 - 기기(컴퓨터, 스마트폰 등등) 이렇게 됩니다.
만약 외부 네트워크가 끊기는 상황이 발생한다면? 당연히 인터넷 접속은 안될겁니다.
하지만 공유기 밑으로 엮인 기기 간에 통신은 가능합니다.
바로 공유기 밑으로 사설 IP가 존재하여 서로간에 통신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통신 과정을 살펴보도록 하죠.
위 사진을 보면 네트워크 통신을 기기마다 외부 네트워크랑 하는 것이 아닌 공유기가 중간에 있습니다.
각 기기가 전송 혹은 받아야할 데이터를 공유기 없이 외부 네트워크랑 1:1로 통신할 경우, 각 기기마다 1개의 공인 IP가 할당되야 합니다.
하지만 중간에 공유기가 일단 모든 통신을 본인에게 집중시킵니다. 마치 택배 물류창고 같이 말이죠. 그 후 각각 길을 안내합니다.
이러한 방법으로 집에 할당된 공인 IP는 한개 뿐이지만 공유기가 내부에서 사설 IP를 재할당하여 3대의 기기가 1개의 공인 IP로 통신을 할수 있습니다.
그럼 외부 네트워크가 공유기 하단에 있는 PC에 통신을 시도하려 할때, 공유기 중계없이 사설 IP로 통신이 가능할까요? 매우 힘듭니다.
통신 과정도 알아봤고 공인, 사설 IP 개념도 알아봤습니다. 그러면 공인IP는 곂치면 안된다고 했는데 사설은 어떨까요?
결론을 미리 말씀드리자면 사설도 곂치면 안됩니다.
하지만 사설은 각 공유기 하단에서만 쓰이는 IP이기에 다른 공유기 하단에 같은 사설 IP가 있다고 해도 완전히 다른 주소입니다.
예를 들어
공인 IP : 123.123.1.1
사설 IP : 192.192.1.2
이런 환경이 있다고 하면
외부에서 접속을 하려면 우선 123.123.1.1 이란 공인 IP를 따라 들어온 다음 사설 IP인 192.192.1.2를 들어와야 접속이 가능합니다.
즉 (공인)123.123.1.1 → (사설)192.192.1.2 와 (공인)456.456.1.2 → (사설)192.192.1.2 는 다른 주소인 겁니다.
이렇기에 사설 IP는 같은 공인 IP안에서만 안곂치면 되는 내부 네트워크입니다.
3. 유동 & 고정 IP
우리가 공유기를 통해 여러 기기들을 네트워크에 접속하고자 할때 일일이 IP잡아주고 게이트웨이 찾고 그러진 않습니다.
공유기가 알아서 해주기 때문입니다. 이걸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이라고 합니다.
DHCP는 새로운 기기가 접속하면(wifi, 유선랜 등) 새 IP를 할당합니다. 하지만 기존에 접속한 기기라면? 이미 할당해준 IP를 다시 넘겨줍니다.
그러면 한번 할당된 IP는 영원히 한 기기만 쓸수있을까요? 그렇지 않습니다.
DHCP는 IP 대여시간이라는 것을 운영합니다.
즉 IP대여시간이 넘은 IP는 새로 재 할당을 한다는 것입니다. 그러면 기존에 할당받은 기기도 새로운 IP를 할당 받는데,
이를 '유동 IP' 라고 합니다.
그럼 고정 IP는? 당연히 이러한 IP 재할당 없이 한 IP를 고정적으로 쓰는걸 '고정 IP' 라고 합니다.
'IT에 관한 모든것' 카테고리의 다른 글
MQTT란 무엇일까? (0) | 2021.07.14 |
---|